“외계어 같다고 대화 안할쏘냐?”
아빠 : 시험은 잘봤지?
딸 : 시망했어요.
아빠 : 시험이 어쨌다고?
딸 : 아니, 시험이 어쨌다는 게 아니라 시원하게 망했다고.
엄마 : 초영이는 잘하잖아.
딸 : 초영이? 초영이 극혐이지. 혼자서 개이득 봐서, 인생점수 쳤잖아.
한 방송사에서 과거 방영된 ‘안녕 우리말’이란 프로그램에 나오는 부모와 딸의 짧은 대화이다. 실제 인물들의 조금 어설픈 재연 이후 아빠는 “이런 불필요한 단어를 배우고 씀으로써 스스로의 품격을 낮추는 것 같다”고 평했고, 딸은 “우리 나름대로는 재미있고 입에 붙으니까, 어쩌다 부모님 앞에서도 튀어나오는 것 같다”고 답했다.
시망, 극혐, 개이득, 인생점수….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현상에 대한 판단은 잠시 미뤄두고, 아래 단어의 뜻도 무엇인지 한번 맞혀보자.
①개이득 ②세젤웃 ③1.2㎏ ④병맛 ⑤심쿵 ⑥이욜 ⑦취저 ⑧멘붕 ⑨존예 ⑩오키도키 ⑪띠로리 ⑫노답
멘붕, 노답 정도는 알 수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심쿵까지도.
개이득, 1.2㎏, 병맛, 존예, 취저, 오키도키는 감은 오는데 맞는 뜻인지는 확신이 안 선다. 개이득은 실질적인 이득이 없다? 병맛은 병에 든 음료수 맛? 존예는 존경과 예의? 오키도키는 설마 워키토키?
세젤웃, 이욜, 띠로리. 이건 뭐 감조차 안 온다.
요즘 아이들이 일상어로 쓰는, 어쩌면 이미 철 지났을지도 모를 위 단어 12개의 뜻을 모두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정답률 또한 더 낮아질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세대차이의 대표적 현상으로 기성세대와 신세대 간의 언어단절이 꼽히기 시작했고, 대다수의 기성세대는 ‘외계어’와도 같은 아이들의 은어와 비속어를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무시된 채 무문별 하게 만들어진 신조어’라 간주하며 걱정 어린 눈길로 바라봤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비단 요즘 아이들만 유별나게 그러는 것일까?
‘셤, ㅎㅎㅎ, 뽀대난다, 헐…’
위 표현에 대한 정답률은 조금 올라갔을지도 모른다. 다름 아닌 2005년 교육부가 ‘인터넷 언어가 국어를 파괴하고, 학생들의 문법 실력을 떨어지게 하며, 세대 간 단절을 가져온다’는 우려 아래 전국 일선 학교에 배포한 ‘인터넷 언어 순화 지도안’에 나온 사례들이다. 물론 이 외에도 ‘저놔(전화), 띰띰하다(심심하다), 음야(지루하다, 졸리다), p~(한숨)’과 같은 사례도 실렸지만, 언제 그런 게 있었나 싶다.
시간을 좀 더 내려와보자.
‘귀요미, 낚시글(질), 베프, 볼매, 솔까말, 안습, 지못미, 지름신, 차도남…’
개중에는 반가운 단어들도 보인다. 2010년 언저리에 사용되던 것들로, 지금 현재 살아남은 건 살아남았고 사라진 건 사라졌다. 구력(?) 좀 되는 표현들은 과도한 우려나 극한 거부감 없이 회자되곤 한다.
마찬가지로 지금 아이들의 ‘외계어’ 또한 같은 길을 가지 않을까. 생성과 소멸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가운데 말이다. 다만 여기서 기성세대가 할 일은 극단으로 치달은 나머지 다소 거북스러운 표현들을 자연스럽게 걸러주는 일 정도가 아닐까 싶다. 기성세대 또한 ‘안냐세요, 어솨요’ 하며 PC통신 채팅방에서 인사 나누던, ‘8282, 1004, 1010235(열열이 사모해), 7942(친구사이), 2241000045(둘이서 만나요)’로 삐삐 치던 때가 있지 않았던가.
한국교직원공제회가 4월 24일부터 시작하는 ‘#쌤톡해요’ 캠페인도 이러한 의도에서 기획됐다. 무작정 ‘계몽’과 ‘훈계’로 다가가기 보다는, 조금 느슨한 잣대 아래 아이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또 다른 소통의 기회를 마련해보자는 취지에서 카카오톡 이모티콘 12개를 제작해 무료로 배포한다. 앞서 아리송했던 12개의 단어는 바로 이모티콘으로 제작된 단어들이다. 플래시로 제작돼 단어와 그 뜻을 함께 볼 수 있다.
자, 그럼 이제 12개 단어의 뜻을 알아보자.
①개이득 - ‘많이’라는 뜻의 접두사 ‘개-’와 이득이 합쳐져 아주 큰 이득을 봤다는 의미. ‘개-’의 경우 ‘개살구, 개꿈’이 아니라 ‘개웃겨, 개피곤’처럼 쓰인다.
②세젤웃 - 세상에서 제일 웃겨.
③1.2㎏ - 한 근은 600g, 두근두근.
④병맛 - 맥락 없고 형편없으며 어이없음. 내용이 허술한 만화에서 유래.
⑤심쿵 - 심장이 쿵쾅쿵쾅 거린다.
⑥이욜 - ‘이야+욜’이란 뜻의 감탄사.
⑦취저 - 취향 저격. 본인 마음에 드는 취향 또는 스타일과 꼭 맞는 상황.
⑧멘붕 - 멘탈(mental) 붕괴. 큰 충격에 얼이 나감.
⑨존예 - 정말 예쁘다. ‘존맛(맛있다), 존못(못생겼다)’ 등도 쓰인다.
⑩오키도키 - OK 보다 긍정·적극적 의미를 지님.
⑪띠로리 - 맙소사! 절망, 좌절의 의미. 바흐가 작곡한 ‘토카타와 푸가’의 첫 소절을 표현.
⑫노답 - ‘No 답’. 하는 짓이 변변치 않거나 어이없을 때 사용한다. 더 강한 표현으로 ‘핵노답’이 있다. ‘노잼(재미없음)’도 있다.
-한국교직원신문-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1 | "수렵시대에 적응된 뇌, 앉아만 있으면 쪼그라듭니다" | 마을지기 | 2019.01.02 | 656 |
100 | "코딩 기술 교육? 차라리 추리소설을 쓰게 하세요” -데니스 홍 | 마을지기 | 2018.06.29 | 507 |
99 | 베이징대 총장의 ‘뼈아픈 사과문’을 보면서 | 마을지기 | 2018.05.12 | 297 |
98 | AI가 지도하자 ‘수학 포기자’ 성적 28% 올랐다 | 마을지기 | 2018.05.09 | 366 |
97 | [분수대] 예일대의 행복 수업 | 마을지기 | 2018.05.08 | 271 |
96 | 순천 ‘기적의 놀이터’엔 아이들이 다쳐 멍들 권리가 있다 | 마을지기 | 2018.05.06 | 529 |
95 | 인공지능 시대 이것이 필요하다 | 마을지기 | 2018.01.13 | 242 |
94 | 인공지능 시대 이렇게 바뀐다 | 마을지기 | 2018.01.13 | 250 |
93 | 명사 100인이 꼽은 미래역량 | 마을지기 | 2018.01.12 | 2350 |
92 | “아이에겐 클래식? 부모가 좋아하는 음악 함께 즐기는 게 최고 | 마을지기 | 2017.06.20 | 275 |
91 | 전교 꼴찌→司試 18등… 고교 야구선수의 '14년 집념' | 마을지기 | 2017.05.09 | 295 |
» | 외계어 같다고 대화 안할쏘냐? | 마을지기 | 2017.04.22 | 660 |
89 | ['0교시 체육수업' 도입 주장한 존 레이티 하버드 의대 교수] | 마을지기 | 2017.04.18 | 596 |
88 | 까다롭고 친구 못 사귀고 … 민감한 당신의 성격, 단점 아닌 개발해야할 능력 | 마을지기 | 2017.04.07 | 474 |
87 | '2016 교육여론조사'의 주요 내용 | 마을지기 | 2017.02.11 | 271 |
86 | 옥스퍼드大의 면접 질문들 | 마을지기 | 2017.01.26 | 471 |
85 | 고도원과 4차 산업혁명 | 마을지기 | 2016.09.23 | 261 |
84 | 자녀 경쟁력은 수능시험에서 나오지 않는다 | 마을지기 | 2016.08.26 | 297 |
83 | 加 앨버타주, 20년 만에 교육과정 바꾼다 | 마을지기 | 2016.08.06 | 311 |
82 | “학생참여 수업이 무조건 좋다?…교사가 상황에 맞게 정해야” | 마을지기 | 2016.08.06 | 3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