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한 우리' '악한 그들'-중앙일보 김환영 에디터
“모든 변화가 발전은 아니며 모든 움직임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퓰리처상을 받은 미국 작가 엘런 글래스고(1874~1945)가 한 말이다. 글래스고의 말처럼 변화가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지만, 체제의 성격과 무관하게 모든 국가에는 변화가 필요하다. 보수주의 정치 사상가 에드먼드 버크(1729~1797)는 “변화의 수단이 없는 국가는 스스로를 보존할 수단이 없는 국가다”라는 말로 변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변화를 싫어하는 것은 독재정권이다. 독재자는 “잘 달리는 말을 갈아탈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정치는 끊임없이 변한다. 항상 ‘더 잘 달릴 말’을 모색하는 게 민주정치다.
문제는 변화가 선거 정치에 등장할 때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변화를 내세워 지난 대선에서 당선됐다. 그는 변화를 다음번 미국 대선에서는 내세우지 못할 것이다. 오바마는 변화의 대통령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 자신의 잘못과 공화당의 방해공작도 있지만 어쨌든 그는 변화에 실패했다. 그가 변화에 성공했다면 ‘대통령다운 대통령(Presidential President)’으로 인정받았을 것이다.
오바마를 비롯해 세계의 정치인들은 끊임없이 변화의 외침을 새롭게 포장해 유권자들을 유혹하지만 변화는 쉽지 않다. 변화는 약속이 아니라 실천이며, 선언이 아니라 과정이다. 변화라는 실천의 과정은 체제 속에서 이뤄진다. 체제는 잘 바뀌지 않는다. 크게 보면 결국 체제의 변화에는 체제 자체의 변화와 체제를 강화시키는 변화가 있다. 중범위(middle range)의 변화도 있을 수 있다. 모두 다 어렵다. 가만히 놔둬도 자연스럽게 변하지만 인위적인 변화를 시도하면 잘 안 바뀐다는 게 민주체제와 변화의 관계를 규정하는 패러독스다.
‘변화를 바라는 민심’은 한국·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공통이다. 그러나 ‘변화를 바라는 민심’을 해부하면 민심의 실체는 사라진다. 새로운 일자리, 직업 안정성, 내 집, 더 높은 소득과 같은 것을 바라는 ‘이익정치(interest politics)의 바람’이 있을 뿐이다. 이익을 무시한 변화는 힘들다. 불이익이 예상되면 ‘민심’은 곧바로 변화에 대한 반감을 드러낸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4 | 꼭 실패하고 싶은 이를 위한 10가지 충고 | 마을지기 | 2011.11.09 | 6377 |
63 | 독서의 중요성-이외수씨의 말 | 마을지기 | 2011.11.09 | 45374 |
62 | 스티브 잡스가 휼륭한 5가지 | 마을지기 | 2011.10.20 | 5916 |
61 | 스티브잡스의 말말말 | 마을지기 | 2011.10.15 | 11691 |
60 | 인간은 낙관론자-'흡연 사망' 경고에도 계속 담배 피우는 이유는 '뇌' 때문 | 마을지기 | 2011.10.11 | 7478 |
» | 변화의 의미와 변화의 어려움 | 마을지기 | 2011.10.05 | 6917 |
58 | 관광과 여행의 의미 | 마을지기 | 2011.10.04 | 7826 |
57 | 과학이든 인문이든 글쓰기로 판가름나더라-최재천 교수 | 마을지기 | 2011.09.24 | 4913 |
56 | 슬로건은 콤플렉스다 | 마을지기 | 2011.09.17 | 5223 |
55 | 총론만 늘어놓는 비전문가의 함정 | 마을지기 | 2011.08.08 | 5163 |
54 | LG경제연 ‘직장 내 화합’ 보고서 | 마을지기 | 2011.07.20 | 5877 |
53 |
잡스의 프리젠테이션(PT) 기법 10
![]() | 마을지기 | 2011.07.08 | 6429 |
52 | 자존심을 허물 수 있다면 | 마을지기 | 2011.06.02 | 6849 |
51 | 미 국방장관 게이츠의 리더십의 조건 | 마을지기 | 2011.06.01 | 7420 |
50 | 불가능은 없다 | 마을지기 | 2011.05.16 | 7009 |
49 | 교사와 관련된 명언 모음 | 마을지기 | 2011.05.15 | 15242 |
48 | 가장 두려워 하는 건 흥분, 일본인들이 차분한 이유 | 마을지기 | 2011.03.17 | 6944 |
47 | ‘코리아’ 7번 언급 … “한국선 교사가 국가 건설자”-오바마의 연설 | 마을지기 | 2011.01.27 | 7839 |
46 | 인간의 뇌 ‘바보’ 인가 | 마을지기 | 2011.01.27 | 6875 |
45 | 히스 형제가 제시하는‘변화로 가는 길’- 스틱과 스위치의 공동 저자 | 마을지기 | 2010.11.06 | 74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