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좋은 글마당

오늘:
35
어제:
304
전체:
1,684,828
Since 1999/07/09

평범한 선생님은 말을 하고, 좋은 선생님은 설명을 하며, 뛰어난 선생님은 몸소 보여주고, 위대한 선생님은 영감을 준다
?
『인생은…』 개정판 낸 페스트라이쉬
기사 이미지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인공 지능 등 급격한 기술 변화 시대에 살아남으려면 새로운 생각과 흐름을 수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키울 방법으로 ‘인문학 교육의 부활’을 제안했다. [사진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52)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인보다 더 한국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외국인이다. 한국 문화의 가치와 잠재력을 입이 닳도록 역설하고 다닌다. “한국이 일군 경제 기적의 배후엔 수천년 동안 지속된 지적(知的) 전통이 있다”는 주장도 그의 단골 메뉴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언급해 화제가 됐던 그의 저서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에서도 선비 정신과 예학·풍수 등 우리 전통문화의 강점을 끊임없이 내세웠다.

“공부를 취업수단으로 보는게 문제
도덕적 삶, 학문 성취 전통 되찾아야
서당식 낭독교육법도 되새겨 볼만
한국인들 자부심 양극화현상 심해
이젠 한국 아닌 지역 문화 강조할 때
이태원·청계천 등 가치 짚어낼 것


18일 서울 인사동에서 만난 그는 소설가 한강의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수상 소식을 화제로 올렸다.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활기에 세계가 주목하는 게 당연하다”면서 자신의 ‘선견지명’에 만족스러워하는 듯했다.
질의 :2011년 출간한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의 개정판이 나왔다. 지난 5년 사이 한국인들의 의식엔 어떤 변화가 있었다고 보나.
응답 :“자부심이란 측면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해졌다. ‘헬조선’이라며 한국 사회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스스로를 비하하는 사람도 많아졌고, 전통문화의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인생은 …』는 속도에 치중하다 방향을 잃어버린 한국 사회의 문제를 짚은 책이다.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전통 문화의 재해석 등을 제안한다. 그는 “한국 교육의 혁신 모델을 다른 선진국에서 찾지 말고 전통교육에서 찾아라. 다문화 사회에 대한 해법도 홍익사상 등 전통문화에 있다”고 말했다.
질의 :어떤 전통이 유효할까.
응답 :“현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공부를 수단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공급자는 돈벌이 도구로, 수요자는 취업을 위한 자격으로 생각한다. 도덕적 삶과 학문적 성취를 강조하는 선비정신은 한국의 교육 체계를 다시 세우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옛날 서당에서 천자문을 가르칠 때 썼던 ‘낭독’교육법도 되새겨봐야 한다. 지식을 내면화시키는 일종의 체험 교육이라는 점에서 암기 위주의 2차원 교육에 머무르는 현 시스템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또 스승과 제자가 평생을 두고 인연을 이어갔던 전통도 되살릴 가치가 있다.”

미국 내슈빌에서 태어난 그는 예일대에서 중문학을, 일본 도쿄대에서 비교문화학을 공부하며 중국어와 일본어를 익혔다. 1995년 하버드대에서 동아시아 언어문화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서울대 중문학과에 연구생으로 오면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그는 “앞으로 중국이 부상하리라 생각해 83년 중국어 공부를 시작했고, 이후 동아시아 3국의 언어를 모두 통달하면 동아시아 비교문학의 진정한 대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 같아 전략적으로 한국어 공부까지 했다”고 말했다. 또 “현재 한국 학생들이라면 베트남어와 인도네시아어를 배워두는 것이 유용한 미래 전략이 될 것 같다”고 했다.

97년 한국인 아내와 결혼한 그는 한국식 이름 ‘이만열’을 즐겨쓰며, 한국어도 유창하다. 하지만 1남 1녀를 한국에서 키우면서 ‘다문화 가족’의 고충을 직접 겪었다. “2007년부터 계속 한국에 살고 있다. 처음엔 두 아이 모두 한국학교에 보냈는데 결국 국제학교로 옮겼다. ‘미국사람이냐, 한국사람이냐’는 질문을 끊임없이 받아야 했다. 한국 사회 적응 여부가 ‘(한국인같은) 외모’에 달려있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질의 :줄곧 ‘단일민족’을 강조했던 전통 탓 아닐까.
응답 :“꼭 그렇지는 않다. 한국 문화를 조금 깊이 공부해보면 보편성을 얼마나 중시했는지 알 수 있다. 한국은 국기에도 국가의 특수성을 내세우지 않고 태극같이 형이상학적·보편적 의미를 담은 나라다. 또 고려시대에 이미 다문화의 전통과 경험이 있다”

그의 최근 관심사는 ‘서울’이다. 서울의 저력과 매력을 소개하는 책을 준비 중이다. “이젠 한 나라의 문화가 아닌 각 지역의 문화를 강조해야 할 단계”라면서 “프랑스가 프로방스·노르망디 지역 등을 독립적으로 내세우는 것처럼 이태원과 청계천 등의 가치를 따로 짚어보겠다”고 말했다.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예일대를 나와 도쿄대·하버드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땄다. 일리노이대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 조지 워싱턴대 역사학과 겸임교수, 우송대 솔브릿지 국제경영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 해외홍보원 공식 온라인 신문 ‘Dynamic Korea’ 수석편집장, 주미한국대사관 홍보원 이사 등을 지냈다. 연암 박지원의 소설 10권을 영어로 옮긴 책(서울대출판부 출간)도 펴냈다.


글=이지영 기자 jylee@joongang.co.kr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출처: 중앙일보] “교육혁신 모델, 외국서 찾지말고 선비정신 살려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 삐뚤빼뚤 악필… 연필 쥐는 법부터 가르쳐요 마을지기 2016.08.02 335
80 4차 산업혁명, 세계 5룡만 살아남는다 마을지기 2016.07.30 299
» “교육혁신 모델, 외국서 찾지말고 선비정신 살려야” 마을지기 2016.05.21 361
78 [삶의 향기] ‘365일 24시간 직업’ 마을지기 2016.05.15 416
77 '조절초점 이론' 심리학자 히긴스 컬럼비아대 교수 마을지기 2016.04.23 1501
76 효도와 한국의 미래 마을지기 2016.04.16 442
75 IQ가 다는 아니다 … 사람들은 여러 방식으로 똑똑하다 마을지기 2015.12.03 448
74 [시론] 인성교육, 소통능력 기르는 게 핵심이다 마을지기 2015.08.03 1034
73 소셜미디어에 비친 교사와 스승 마을지기 2015.06.13 466
72 한 살배기도 '호기심 천국' … 깜짝 놀라면 더 잘 배운다 마을지기 2015.04.03 450
71 교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소서 마을지기 2015.03.26 408
70 교육은 따뜻해야 합니다-선물과 촌지의 의미 마을지기 2015.03.25 389
69 저출산 한국, 초등학교 등교시간부터 앞당겨라 마을지기 2015.01.03 610
68 [The New York Times] 꿈꾸면 다 이뤄진다고요? 마을지기 2015.01.03 446
67 사진으로 보는 한국 초등교육의 역사 마을지기 2014.10.26 562
66 [백성호의 현문우답] 재촉하는 부모, 기다리는 부모 마을지기 2014.10.26 618
65 [백성호의 현문우답] 내 아이, 제대로 된 물건 만드는 법 마을지기 2014.10.26 985
64 [백성호의 현문우답] 통찰력 키우는 독서법 마을지기 2014.10.18 696
63 [교육공감] '엄함'과 '억압'의 차이 마을지기 2014.07.10 631
62 청소도 기본교육이다. 총채 든 남자, 걸레 든 아이 마을지기 2014.03.25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