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좋은 글마당

오늘:
107
어제:
274
전체:
1,658,147
Since 1999/07/09

평범한 선생님은 말을 하고, 좋은 선생님은 설명을 하며, 뛰어난 선생님은 몸소 보여주고, 위대한 선생님은 영감을 준다

목표 하나쯤 품고 사는 삶

마을지기 2018.06.14 07:42 조회 수 : 339

[마음읽기] 목표 하나쯤 품고 사는 삶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어쩌다 목표는 천덕꾸러기가 되었을까? 어쩌다 우리 사회는 목표를 중시하는 사람들을 삶의 진정한 가치를 모른 채 무의미한 노동을 되풀이하는 시시포스로 치부하게 되었을까? 어쩌다 우리는 목표를 포기해야만 행복이 찾아오리라고 생각하게 되었을까? 마르지 않는 행복의 원천이라고 칭송받던 ‘목표’가 워라밸을 위협하는 흉물스러운 존재로 전락하게 된 데는 목표에 대한 우리의 오해가 큰 역할을 했다.
 
몇 년 전 어떤 분에게서 항의성 이메일을 받은 적이 있다. 행복에 관한 필자의 강연을 동영상으로 접한 후에 보내온 이메일이었다. 이메일 곳곳에 원망과 항의, 그리고 울분이 배어 있어서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사연은 이랬다.
 
그 강연에서 필자는 행복에 관해 우리가 가진 프레임이 지나치게 협소한 까닭에 행복을 맛있는 것을 먹을 때의 즐거움 정도로만 이해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고, 어떤 대상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거나 호기심으로 충만한 상태 역시 행복이며, 그런 관심과 호기심에 기초하여 의미 있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필요함을 제안했다. 그러나 필자에게 이메일을 보낸 분의 이해는 달랐다. 그분은 대한민국의 불행의 주범이 바로 목표 지상주의이며, 목표 지상주의가 우리 사회를 피로 사회로 만들었다고 항변하면서, 어떻게 행복의 수단으로 목표를 강조할 수 있느냐며 강하게 항의했다. 취미나 관심사를 뜻하는 ‘개인적 관심(personal interest)’을, 스펙 쌓기와 물질적 성공을 강조한 것으로 오해한 나머지 보내온 이메일이었다.
 
과도한 목표 지상주의는 그분의 지적처럼 행복의 장애물이다. 국가의 평균 노동시간이 길수록 국민의 평균 행복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명백하게 존재하는 상황에서 더 열심히 일하는 것이 행복의 해법이 될 수 없음은 너무나 분명하다. 그러나 목표 지상주의에 대한 경계가 목표에 대한 일방적인 부정으로 이어지는 것은 벼룩을 잡기 위해 초가삼간 전체를 태우는 것과 같다.
 
[일러스트=김회룡]

[일러스트=김회룡]

실제로 사람들에게 행복이 무엇인지 물으면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답이 자신의 꿈, 비전, 소망, 그리고 목표를 이루는 것이다. 반대로 불행한 이유를 물으면 ‘꿈을 잃었기 때문’, ‘목표가 좌절되었기 때문’, ‘더 이상 소망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개인의 행복 수준은 그 개인의 소망과 필요, 그리고 목표가 달성된 정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많은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래서 행복 연구에서는 목표를 행복의 ‘원천(wellspring)’이라고까지 부른다.
 
그런데 도대체 왜, 우리는 목표에 대해 알레르기성 거부 반응을 보이게 되었을까? 어쩌다 우리는 아무런 목표 없이 사는 것이 행복이라는 위험한 생각을 갖게 되었을까? 가장 큰 이유는 목표를 지나치게 협소하게 이해하기 때문이다. 목표에는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 신의 영광을 위해 사는 것, 가문을 빛내는 것 등과 같은 큰 목표도 있다. 하지만 아이에게 구구단을 가르치는 것,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일상적이고 소소한 목표도 존재한다. 행복을 결정하는 것은 목표의 크기가 아니라 목표의 개인적 의미다. 아무리 사회적으로 중요한 일일지라도 개인에게 의미가 없다면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없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개인적’ 목표다. 그동안 우리 사회가 개인적 목표보다는 집단적 목표만을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대아를 위해 소아를 희생하는 것을 이상으로 여겨왔기 때문에 우리에게 목표란 늘 부담스러운 존재일 수밖에 없었다. 우리 아이 반의 축구 경기보다는 국가대표 축구팀의 경기가 늘 더 중요했었다. 그런데 살아보니 과연 그러한가?  
     
체중 조절을 위해 간식을 먹지 않기, 주말에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기, 처음 보는 사람에게 먼저 인사하기, 타인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수용하기, 물질주의적인 사람이 되지 않기 등등 개인적 목표는 비록 우리의 연봉을 올리거나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지라도 우리 삶에 규칙과 질서를 제공하고 무엇보다 삶의 의미를 제공해준다. 우리 자신의 내면에 귀를 기울이기보다 타인의 기대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오다 보니 정작 중요한 개인적 목표가 사라진 것이다.
 
목표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행복의 조건이다. 남의 목표가 아니라 자신의 목표를 발견해야 한다. 무엇보다 목표의 일상성을 회복해야 한다. 특별하고 거대한 것들만이 목표라고 생각한다면, 그래서 목표 지상주의에 대한 경계라는 이름으로 작고 소중한 목표들을 등한시한다면, 자신만의 행복 수원지(水源池)를 스스로 메우고 있는 것이다.
 
목표는 활주로와 같다. 그것이 없다면 삶은 충돌의 연속일 뿐이다.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마음읽기] 목표 하나쯤 품고 사는 삶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 답 주지 말고 찾도록 도와주라 마을지기 2020.03.11 289
56 문과생도 과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마을지기 2020.03.11 325
55 일본의 방역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이유[동아광장/박상준] 마을지기 2020.03.11 200
» 목표 하나쯤 품고 사는 삶 마을지기 2018.06.14 339
53 인공지능 AI를 사랑한 남자, 그 감정은 진짜일까 [출처: 중앙일보] 마을지기 2018.05.26 780
52 키메라 장기·인공혈관·인공근육 ‘6백만불의 사나이’ 현실이 된다 마을지기 2018.05.12 458
51 지나치게 심각하지 않은 삶 마을지기 2018.05.08 519
50 [마음읽기] 의리는 의미를 이길 수 없다 마을지기 2018.05.08 426
49 미국 교사들 "월급이 쥐꼬리" 거리로 뛰쳐나왔다 마을지기 2018.04.30 485
48 4차 산업혁명시대, 은퇴 뒤 재취업하기 쉬운 직업은 마을지기 2018.04.30 285
47 [책 속으로] 글쓰기 책의 이구동성…"많이·깊이·짧게·다시" 마을지기 2017.11.25 468
46 행복의 재정의가 필요한 시대 마을지기 2017.04.19 249
45 일자리 50%는 지금 당장 로봇 대체 가능 마을지기 2017.04.15 200
44 훌륭한 지도자의 으뜸 조건은 ‘머리보다 성격’ 마을지기 2017.04.09 276
43 24개 혁신기술 확산시기 마을지기 2017.04.04 199
42 4차 산업혁명- 혁신의 역설 마을지기 2017.01.30 647
41 도킨스 “생물학적 진화 아닌 문화적 진화, 그게 인류의 미래” 마을지기 2017.01.23 397
40 로봇이 사회·정치 부패 척결할 것-4차 산업혁명과 로봇 마을지기 2016.09.29 343
39 인류 5번 걸쳐 대륙간 대이동, 급격한 기후 변화 때문 마을지기 2016.09.23 365
38 [중앙시평] 리더는 갑다운 갑이어야 한다 마을지기 2016.08.22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