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좋은 글마당

오늘:
362
어제:
298
전체:
1,613,743
Since 1999/07/09

평범한 선생님은 말을 하고, 좋은 선생님은 설명을 하며, 뛰어난 선생님은 몸소 보여주고, 위대한 선생님은 영감을 준다

[마음읽기] 의리는 의미를 이길 수 없다

      

극한상황에서도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동력은 ‘의미 찾기’
개인들이 삶의 의미 쫓을수록 집단적 의리사회에는 균열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가신’, ‘최측근’, ‘집사’의 증언 혹은 배신으로 불법과 편법의 과거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들이 사는 세상에서 정확히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우리로선 알 길 없지만, 최근에 일어난 드라마 같은 일들은 사람의 본성에 대하여 골똘히 생각하게 한다. ‘과연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왜 최측근에서 보좌하던 사람들이 진술을 번복하고, 분신이라고 불리던 사람들이 정면으로 맞서기 시작했을까?’ ‘제 한 몸 지키기 위한 방어 수단일까, 아니면 그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용인술의 실패일까?’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사람’의 관점에서만 보자면, ‘의리’에 대한 ‘의미’의 승리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의리와 의미는 인간을 움직이는 두 개의 큰 힘이다. 의리는 집단과 관계를 중시하는 우리 문화를 지탱해온 큰 기둥이었다. 연고주의라는 극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의리는 죽음까지도 불사하게 하는 힘을 발휘해왔다. 의리 없는 사람으로 치부되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낙인인지를 우리는 뼛속 깊이 알고 있다. 의리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힘이라면, 의미는 철저히 개인의 내적 사유에서 비롯되는 힘이다. 의리가 자기가 속한 집단의 논리에 부합하는 삶을 살겠다는 다짐이라면, 의미는 삶의 목적과 자기 정체성에 기초한 삶을 살겠다는 다짐이다.
 
우리는 의리가 지배하던 삶을 살아왔다. 불의는 의리라는 이름으로 은폐되고 미화되어왔다. 그럴수록 삶의 의미를 지향하는 개인의 위대한 본성은 약화하고, 우리의 내적 고통은 커져만 갔다. 그러나 일련의 사건들이 똑똑하게 증언하듯이, 결국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의리가 아니라 의미이다.
 
키맨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인터뷰 때마다 자식들을 언급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자식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망과 의지의 표출이다. 자녀에게 부모란, 어떤 편법과 불의를 써서라도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이 더 이상 아니다. 자녀들은 부모들이 원칙 있고 품위 있는 삶을 살기를 원한다. 생존의 문제가 더 이상 절실하지 않은 우리 사회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삶의 나침반 같은 존재가 되었다. 그것이 부모가 나이 들면서 스스로에게 부여한 새로운 의미이다. 자식에게 물려줄 최고의 유산이 물질이 아니라 삶에 대한 태도임을 깨달은 것이다.
 
[일러스트=김회룡]

[일러스트=김회룡]

인간은 의미에의 의지가 충만한 존재이다.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저자인 빅터 프랭클이 2차 세계대전 중에 죽음의 수용소에서 깨달은 것도 이것이었다. 삶에 대한 희망이라곤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었던 그 극한의 상황에서도, 인간을 인간답게 행동하도록 한 결정적 힘은 다름 아닌 ‘삶의 의미’였다.
 
의미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지나온 과거를 회상하고 앞으로 살아갈 미래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천천히 발견되는 것이 의미이다. 의미는 즐거움과는 달리, 즉각적으로 우리를 움직이는 힘은 약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큰 힘을 발휘한다. 자녀가 태어나면서, 삶의 다양한 굴곡을 경험하면서, 그리고 결국 인간은 죽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의미는 저력을 발휘하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면 과거의 불의가 다 드러나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의리 때문에 침묵하고 방조하던 사람들이, 시간이 만들어내는 의미를 등에 업고 마침내 진실 앞에 서게 되는 것이다.
 
의미를 향한 인간의 의지를 잘 보여주는 실험이 있다. 행동경제학자 댄 애리얼리가 한 실험인데, 이 실험에서 그는 참가자들에게 알파벳이 가득한 종이에서 특정 알파벳을 찾아 체크하는 과제를 주었다. 마친 종이를 제출하면 다시 다른 종이를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완수한 만큼 돈을 받을 수 있었다. 한 조건에서는 종이에 참가자 자신의 이름을 적게 했고, 또 다른 조건에서는 이름을 적게 하지 않고, 종이를 제출하자마자 파쇄기에 종이를 넣어버렸다. 참가자들은 원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었고,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었다. 과연 참가자들은 어느 조건에서 더 많은 과제를 수행했을까?  
     
돈의 관점에서 보자면 후자가 훨씬 유리하다. 적당히 하고 제출해도 들킬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자신의 이름을 적도록 한 조건에서 더 많은 과제를 해냈다. 자신의 이름을 적는 것은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비록 대충대충 하고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조건이 있었지만, 그 조건의 참가자들은 부서지는 종이를 보면서 그 어떤 의미도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이다.
 
우리는 그런 존재이다. 역사의 한 페이지에 자신의 이름이 남겨지는 상황에서 의미를 지키는 행위는 그래서 지극히 당연하다. 그러니 의미 없는 불의를 의리라는 도구를 믿고 저지른다면, 큰 실수이다. 보이지 않는 의미가 보이는 의리를 이긴다. 인간의 위대함은 불의를 의리로 둔갑시키는 데 있지 않고, 비록 늦었을망정 의미가 결여된 의리를 깨는 데 있다.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마음읽기] 의리는 의미를 이길 수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⑭ 아이들의 미래- 심리학자 유미숙 교수 마을지기 2013.12.20 18444
56 복잡계 네트워크 - 얽히고 설킨 세상 네트워크로 푼다(바라바시) 마을지기 2007.11.18 13759
55 상사-부하관계, '가족같기도 원수같기도' 몽상가 2007.11.23 10056
54 힐러리의 야심과 진심 - 너무 남의 평가 의식하다가 자기 진심 담은 목소리 잃어 마을지기 2008.02.18 9642
53 [weekly chosun] 교사 잡는 일본 학부모 '몬스터 페어런트' 마을지기 2008.11.17 8308
52 쌍기역으로 이루어진 한 글자 마을지기 2009.11.24 8239
51 한국의 노동 생산성이 미국의 절반밖에 안 되는 이유 - 장용성 연세대 언더우드 특훈 교수(미 로체스터대 교수) 마을지기 2009.05.09 8195
50 'TGiF(Twitter·Google·iPhone·Facebook) 시대' 해부한다(앱 개발업체CEO들이 본 아이폰 성공비결) 마을지기 2010.06.06 6854
49 현재 만42세 이하가 '5565세대' 되면 新보릿고개 10년 닥친다 마을지기 2011.04.21 5032
48 여자 상사 밑에 있는 여직원들 승진 왜이리 힘든가 했더니… 마을지기 2012.08.17 2040
47 라제시 찬디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 "핵심 고객 재정의가 혁신의 기본" 마을지기 2016.01.31 1924
46 [중앙시평] 올림픽 소고[중앙일보]-조윤제 서강대 교수·경제학 마을지기 2012.08.18 1767
45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⑤ '지혜의 보고' 신화 … 배철현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마을지기 2013.10.29 1276
44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⑦ 동양신화의 재발견 - 정재서 이화여대 교수 마을지기 2013.10.29 1163
43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⑨ 자연의 순리 - 최재천 국립생태원장 마을지기 2013.10.29 1106
42 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③ 심리학의 역설 - 신경정신과 전문의 이나미 마을지기 2013.10.29 1072
41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② 뇌과학의 메시지-김대식 카이스트 교수 마을지기 2013.10.29 1050
40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⑥ 천문학의 지혜 - 홍승수 서울대 명예교수 마을지기 2013.10.29 1032
39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① 공자·노자의 자기혁신 마을지기 2013.10.29 1027
38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⑧ 역사의 울림 -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마을지기 2013.10.29 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