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상황에서도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동력은 ‘의미 찾기’
개인들이 삶의 의미 쫓을수록 집단적 의리사회에는 균열
의리와 의미는 인간을 움직이는 두 개의 큰 힘이다. 의리는 집단과 관계를 중시하는 우리 문화를 지탱해온 큰 기둥이었다. 연고주의라는 극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의리는 죽음까지도 불사하게 하는 힘을 발휘해왔다. 의리 없는 사람으로 치부되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낙인인지를 우리는 뼛속 깊이 알고 있다. 의리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힘이라면, 의미는 철저히 개인의 내적 사유에서 비롯되는 힘이다. 의리가 자기가 속한 집단의 논리에 부합하는 삶을 살겠다는 다짐이라면, 의미는 삶의 목적과 자기 정체성에 기초한 삶을 살겠다는 다짐이다.
우리는 의리가 지배하던 삶을 살아왔다. 불의는 의리라는 이름으로 은폐되고 미화되어왔다. 그럴수록 삶의 의미를 지향하는 개인의 위대한 본성은 약화하고, 우리의 내적 고통은 커져만 갔다. 그러나 일련의 사건들이 똑똑하게 증언하듯이, 결국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의리가 아니라 의미이다.
키맨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인터뷰 때마다 자식들을 언급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자식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망과 의지의 표출이다. 자녀에게 부모란, 어떤 편법과 불의를 써서라도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이 더 이상 아니다. 자녀들은 부모들이 원칙 있고 품위 있는 삶을 살기를 원한다. 생존의 문제가 더 이상 절실하지 않은 우리 사회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삶의 나침반 같은 존재가 되었다. 그것이 부모가 나이 들면서 스스로에게 부여한 새로운 의미이다. 자식에게 물려줄 최고의 유산이 물질이 아니라 삶에 대한 태도임을 깨달은 것이다.
의미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지나온 과거를 회상하고 앞으로 살아갈 미래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천천히 발견되는 것이 의미이다. 의미는 즐거움과는 달리, 즉각적으로 우리를 움직이는 힘은 약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큰 힘을 발휘한다. 자녀가 태어나면서, 삶의 다양한 굴곡을 경험하면서, 그리고 결국 인간은 죽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의미는 저력을 발휘하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면 과거의 불의가 다 드러나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의리 때문에 침묵하고 방조하던 사람들이, 시간이 만들어내는 의미를 등에 업고 마침내 진실 앞에 서게 되는 것이다.
의미를 향한 인간의 의지를 잘 보여주는 실험이 있다. 행동경제학자 댄 애리얼리가 한 실험인데, 이 실험에서 그는 참가자들에게 알파벳이 가득한 종이에서 특정 알파벳을 찾아 체크하는 과제를 주었다. 마친 종이를 제출하면 다시 다른 종이를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완수한 만큼 돈을 받을 수 있었다. 한 조건에서는 종이에 참가자 자신의 이름을 적게 했고, 또 다른 조건에서는 이름을 적게 하지 않고, 종이를 제출하자마자 파쇄기에 종이를 넣어버렸다. 참가자들은 원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었고,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었다. 과연 참가자들은 어느 조건에서 더 많은 과제를 수행했을까?
돈의 관점에서 보자면 후자가 훨씬 유리하다. 적당히 하고 제출해도 들킬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자신의 이름을 적도록 한 조건에서 더 많은 과제를 해냈다. 자신의 이름을 적는 것은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비록 대충대충 하고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조건이 있었지만, 그 조건의 참가자들은 부서지는 종이를 보면서 그 어떤 의미도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이다.
우리는 그런 존재이다. 역사의 한 페이지에 자신의 이름이 남겨지는 상황에서 의미를 지키는 행위는 그래서 지극히 당연하다. 그러니 의미 없는 불의를 의리라는 도구를 믿고 저지른다면, 큰 실수이다. 보이지 않는 의미가 보이는 의리를 이긴다. 인간의 위대함은 불의를 의리로 둔갑시키는 데 있지 않고, 비록 늦었을망정 의미가 결여된 의리를 깨는 데 있다.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