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좋은 글마당

오늘:
263
어제:
422
전체:
1,614,066
Since 1999/07/09

평범한 선생님은 말을 하고, 좋은 선생님은 설명을 하며, 뛰어난 선생님은 몸소 보여주고, 위대한 선생님은 영감을 준다

언어가 힘이다 <12> 글쓰기가 경쟁력 ② [중앙일보]

마을지기 2009.12.02 19:46 조회 수 : 5610

언어가 힘이다 <12> 글쓰기가 경쟁력 ② [중앙일보]

한 가지 주제의, 곁가지 없는 글이 눈에 쏙쏙 들어오지요

무엇에 대해 쓸 것인지 정해 놓고도 실제로 쓰려고 하면 또 막연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대강의 내용은 정해졌으나 구체적으로는 무엇을 쓸 것인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주제를 좁혀야 한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글의 범위를 좁혀야 비로소 글을 써 나갈 수 있다. 주제를 좁히지 않고서는 범위가 넓어 제대로 써지지 않는다. 쓴다고 해도 이것저것 일반적인 얘기로 헤매게 된다. 주제를 좁히면 좁힐수록 쓰기가 쉬워진다.

배상복 기자

주제 넓게 잡으면 횡설수설하다 글 끝내기 십상

주제를 좁히지 않고는 글쓰기가 어렵다. 막연하게 범위를 잡아서는 쓸거리가 생각나지 않는다. 쓴다고 해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이야기를 벗어나기 어렵다.

일상적인 글은 대부분 주제에 해당하는 대략의 제목이 정해진다. 이런 경우 되도록 중심 내용을 구체적이고 좁은 범위로 한정해 써야 한다. 무엇에 대해 쓸 것인지 정해져도 막상 쓰려고 하면 막연하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주제가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주제가 넓으면 글을 구체적으로 전개시키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상식적이고 뻔한 내용을 되풀이하기 쉽다.

글의 초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도 주제를 좁혀야 한다. 어떤 글이든 중심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어야 한다. 이야기를 할 때도 주제가 분명해야 알맹이 있는 대화가 되고 말하고자 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듯이 글에서도 주제가 명확해야 한다. 범위를 넓게 잡으면 주제와 별 관계없는 이야기를 이것저것 나열해 글의 초점이 없어지거나 무슨 얘기인지 횡설수설하다 글을 끝내기 십상이다.

막연한 주제는 사실 그 누구도 소화하기가 쉽지 않다. 자기가 잘 알거나 경험이 있는 부분, 또는 남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부분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쓰기도 쉽고 읽는 사람에게 호소력도 있다. 주제를 좁히는 것을 터득해야 무슨 글이든 잘 쓸 수 있다.

#사례1 부서 체육대회

부서 체육대회가 끝난 뒤 사보에 글을 쓴다고 가정해 보자. 막상 쓰려고 하면 무엇을 써야 할지 막연하다. 만약 체육대회에서 있었던 일을 이것저것 모두 나열한다면 어느 체육대회에서나 있음 직한 뻔한 이야기로 재미가 없다. 이럴 때는 가장 재미있었던 일이나 남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것을 끄집어내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풀어 나가야 한다. 그래야 실감나게 전달할 수 있고, 읽는 사람도 흥미진진하게 글을 읽을 것이다.

#사례2 해외 시찰

기업체에서 해외 시찰을 다녀와 보고서를 쓰는 경우에도 자기 회사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사항이나 관심사를 집중적으로 쓴 뒤 나머지는 간단하게 언급하면 된다. 만약 시찰에서 본 것을 모두 쓴다면 지나치게 양이 길어진다. 전체 내용을 줄여 쓴다고 해도 수박 겉핥기식의 글밖에 되지 않는다. 전체를 다루면 읽는 사람에게 별반 구체적으로 와 닿는 내용 없이 그저 그런 글이 될 수밖에 없다.

#사례3 신입사원 소감

무엇에 대해 써 달라고 원고 청탁을 받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신입사원으로서 느낀 점을 써 달라는 원고 청탁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신입사원으로서 받은 교육이나 그동안 있었던 과정을 다 쓸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나 에피소드를 끄집어내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서술해야 한다. 그래야 남들이 신입사원 생활이 이런 것이구나 하고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사례4 직장생활의 보람

직장생활의 보람에 대해 블로그에 글을 하나 써서 올릴 경우 업무·월급·승진·대인관계 등 직장에서 벌어지는 모든 것으로 범위를 넓게 잡는다면 복잡하고 막연해진다. 그렇게 써 봐야 별 재미도 없다. 이 중 어느 한 가지로 주제를 좁혀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가지고 생생하게 서술하면 쓰기 쉬우면서도 누구에게나 와 닿는 글이 된다.

#사례5 환경오염에 대한 논술

논술시험에서 어떤 주제를 주고 그에 대한 생각을 서술하라고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범위를 좁혀 자신이 잘 알거나 주변에서 벌어진 일을 예로 들며 써 나가야지 넓은 범위에서 모두 다 쓰려고 하면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 환경오염에 대해 서술하라고 하면 수질오염 등 주변에서 일어난 실제 사례를 들어 가며 실감나게 적어 나가는 것이 가장 쓰기 쉽고 읽는 사람에게 호소력도 있다. 

중요하지 않은 내용은 빼라

하나의 글에는 하나의 주제만 담아야 한다. 주제는 글의 초점이므로 한 가지로 집약돼야 한다. 하나의 글에서 두 가지를 한꺼번에 밝히려 한다면 글의 초점이 흐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주제는 한 가지로 명확해야 한다. 하나의 주장을 펼쳐 가다 거기에서 파생된 지엽적인 문제를 거론한다면 앞에서 제시한 논리 구조가 허물어질 수밖에 없다. 주장을 펼치는 데 방해가 되는 부차적인 문제는 가능하면 언급하지 말아야 한다.

주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내용의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통일성은 주제의 선명성을 드러내는 기초적 형식을 이룬다. 문장과 문장이 통일성을 가지고 긴밀하게 연결돼야 한다. 주제를 뒷받침하는 근거나 소재도 주제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을 선택해 긴밀한 상관성을 지니게 해야 한다. 그러자면 글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말하고자 하는 내용, 즉 주제가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일관되게 이야기를 이끌어 가야 한다. 

쉽게 쓸 수 있는 주제를 골라라

주제는 쉬울수록 좋다. 쓰는 사람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주제를 설정해야 자신 있게 써 내려갈 수 있고 읽는 사람에게 실감나게 전달할 수 있다. 쓰는 사람이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이라면 알맞은 주제가 될 수 없다. 정보나 자료가 불충분한 내용은 누구나 헤맬 수밖에 없다. 자신이 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쉬운 것으로 주제를 설정해야 한다.

주제는 또 독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독자의 흥미를 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제가 참신해야 한다. 그러나 참신한 주제를 찾는 일이란 그리 쉽지가 않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듣고 보며 누구나 생각해 낼 수 있는 주제를 피해 가는 것이 좋다. 그저 그런 주제로는 읽는 사람의 흥미를 끌 수 없다. 주제가 참신하려면 소재와 시각의 독창성이 필요하다. 

주제·소재·제재 등의 구분

●주제(主題) 무엇에 대해 글을 쓸 때 ‘무엇’에 해당하는 것, 즉 논의하고자 하는 중심 문제.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것. 또는 제목.

●소재(素材) 글쓰기의 바탕이 되는 구제적인 재료, 즉 얘깃거리. 구체적인 재료의 본디 모습(아무런 설명이나 해석이 가해지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상태). 환경, 사람들의 생활·행동·감정 등이 모두 소재가 될 수 있음.

●제재(題材) 글의 중심이 되는 재료. 소재가 가진 여러 가지 속성과 측면 중에서 글쓴이가 주로 관심을 갖고 주목하는 중심적인 측면이나 속성.

●과제(課題) 처리하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 논술에서는 문제를 파악한 뒤 요구하는 대로 논술문을 쓰는 일을 과제라 할 수 있음.

●화제(話題) 이야기의 제목이나 이야깃거리. 글쓰기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주제와 거의 같은 뜻임.

다시 듣는 국어 수업

주제의 종류

가주제(잠정적 주제)


글의 중심 내용으로 범위가 넓으며, 포괄적이고 막연한 주제. 글의 대체적인 내용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글쓴이가 지니는 일반적인 문제의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아직 글쓴이의 핵심적인 주장이나 견해가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제목을 연상하면 된다.

참주제(구체적 주제)

대상에 대한 주장이나 관점으로 집약된 주제. 생각의 범위가 좁혀지고 어떤 대상에 대한 하나의 주장이나 관점으로 집약된 한정된 주제를 말한다. 글을 쓸 때에는 일반적으로 가주제로부터 참주제로 사고의 방향을 다듬는다.

주제문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완결된 문장으로 서술한 것. 이것을 통해 쓰는 사람의 의견이나 신념 등이 드러난다. 주제문은 참주제를 주어부로 하고 자신의 구체적 견해를 서술부에 놓는 방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글을 쓰기 전에 주제문을 작성해 본 뒤 글 속에서 이것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가주제 생산성 향상

참주제 비용 절감, 품질 경쟁력 향상, 회사 이윤의 극대화

주제문 비용 절감과 제품의 질적 경쟁력 향상으로 회사 이윤을 극대화해야 한다.

주제를 잡는 방법

시·수필·감상문 등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의 글은 대개 소재→제재→주제의 순서로 주제(테마)를 잡아 나간다. 즉 소재를 찾아 그에 의미를 부여하고 글의 주제를 이끌어 내는 순으로 생각을 다듬어 나간다.

그러나 일상적인 글은 주제가 미리 정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와는 반대로 주제를 좁히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윤곽을 잡아 나가야 한다.

기획서·보고서 등을 쓰거나 무엇에 대해 써 달라고 원고 청탁을 받는다면 대부분 주제에 해당하는 대략의 제목이 정해진다. 이때는 가주제로부터 참주제로 생각을 좁혀 나가야 한다. 즉 가주제→참주제→주제문 작성→서술의 과정을 거친다. 종이에 대고 써 보거나 머릿속으로 이렇게 구성해 나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