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좋은 글마당

오늘:
217
어제:
290
전체:
1,621,598
Since 1999/07/09

평범한 선생님은 말을 하고, 좋은 선생님은 설명을 하며, 뛰어난 선생님은 몸소 보여주고, 위대한 선생님은 영감을 준다
융합형 교육에 대한 세 가지 미신[중앙일보] 입력 2014.02.28 00:01 / 수정 2014.02.28 00:01
강홍준 논설위원
 
교육에서 말하는 융합이란 칸칸이 나눠놓은 학문 간 장벽을 트는 작업이다. 전공이나 학과가 각개약진하듯 가르치는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기르겠다는 게 융합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목표다. 실제로 우리 주위에서 벌어지는 사건이나 일, 문제는 복합적인 것이어서 이를 풀어내는 대안을 찾기 위해선 하나의 학문 분야만의 지식으론 부족하다. 인문학적 지식과 소양, 과학이나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사람을 키우겠다는 실용적인 목적이 융합형 교육과정에 담겨 있다.

 정부가 올해 본격적으로 개발하려는 융합형 교육과정은 학문 간 경계를 허무는 쪽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현재 초등학교 5학년 이하 아이들이 대학에 입학하는 2021학년도부터 문·이과 통합 수능을 도입하기로 한 것도 융합형 교육과정에 따른 것이다. 모든 학생이 문·이과로 구분되지 않는 교과서를 가지고 배운다. 수학 과목 하나만 보더라도 반복적인 문제풀이 위주의 교육보다는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스토리텔링 교육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까지 보면 융합의 취지는 썩 괜찮아 보인다. 문·이과로 나눠 가르치는 나라가 선진국 중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는 것도 융합형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다. 학문 간 벽을 무너뜨리는 연구로 잘 알려진 매사추세츠공과대(MIT)의 미디어랩도 있지 않은가. 하지만 융합이란 그럴싸한 외피(外皮)만 보면 안 된다. 우리나라에 건너온 융합형 교육엔 몇 가지 미신이 깔려 있다.

 문·이과로 나누어진 과목들을 한꺼번에 모아 가르치면 교습자의 머릿속에서 자동적으로 융합이 된다는 미신이 첫 번째다. 음식점이 한·중·일식을 뷔페식으로 골고루 제공하면 먹는 사람이 알아서 섞어 먹을 것이라는 미신 말이다. 우리나라 몇몇 대학이나 중·고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융합교육과정은 다양한 전공 교수, 또는 다양한 교과 교사들의 강의를 접하게 한다. 여기엔 여러 분야의 학문을 한꺼번에 배운다는 장점은 물론 있다. 하지만 학과 벽을 터놓고 다양한 전공자들을 모아놨을 뿐이다. 융합형 교육과정을 꾸리는 과정에서 가르치는 교수 또는 교사들이 서로 치열한 토론을 해 학생에게 뭘,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해 고민했어야 하나, 그런 과정이 생략돼 있다. 그냥 다양한 강의를 나열했다는 정도인 게 우리의 융합형 교육과정이다. 융합의 몫이 철저히 학생에게 있다.

 융합형 교육은 기존의 교수나 교사에게 맡겨놔도 가능하다는 미신도 있다. 연구와 교육을 함께 하는 대학에선 이게 가능할지 모른다. 외부 과제를 따와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 다양한 전공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은 대학에선 흔하다. 하지만 중·고교는 그렇지 못하다. 중·고교 교사들이 무능해서가 아니다. 이들은 새롭게 도입되는 융합형 교육과정에 방어적일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것인 데다 단순히 몇 시간 동안 연수받아서 때우기엔 한계를 느낄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의욕 있는 젊은 교사라 하더라도 그들 역시 교사가 되기 위해 철저히 학과별로 나누어진 교원임용시험을 수년 간 준비한 사람들이다.

 마지막 미신은 융합형 교육이 창의력 있는 인재를 길러낸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이게 가장 강력하다. 아주 우수한 학생은 그의 머릿속에서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융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모두는 그렇지 못하다. 특히 학습수준이 천차만별인 학교에 융합형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는 다른 문제가 벌어진다. 보통의 학생들은 우선 배워야 할 범위가 확 늘어난다는 부담을 느끼게 된다. 그나마 학문 분야별로 나누어져 있을 때 교사가 줄 수 있었던 최소한의 지식마저 융합형 교육에 휩쓸려 실종될까 걱정스럽다. 어찌 보면 스티브 잡스 같은 창의적 융합형 인재가 공교육의 소산이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그의 전기를 읽어봐도 그는 학교라는 제도권 교육의 수혜자는 아니었다.
 
 단순히 교과의 벽을 부수는 게 융합형 교육은 아니다. 벽을 무너뜨린 빈터에 무엇을 지을지 철학과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

강홍준 논설위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 인공지능 시대 이것이 필요하다 마을지기 2018.01.13 135
100 인공지능 시대 이렇게 바뀐다 마을지기 2018.01.13 153
99 4차 산업혁명, 세계 5룡만 살아남는다 마을지기 2016.07.30 167
98 '2016 교육여론조사'의 주요 내용 마을지기 2017.02.11 181
97 고도원과 4차 산업혁명 마을지기 2016.09.23 182
96 “아이에겐 클래식? 부모가 좋아하는 음악 함께 즐기는 게 최고 마을지기 2017.06.20 186
95 [분수대] 예일대의 행복 수업 마을지기 2018.05.08 186
94 전교 꼴찌→司試 18등… 고교 야구선수의 '14년 집념' 마을지기 2017.05.09 208
93 베이징대 총장의 ‘뼈아픈 사과문’을 보면서 마을지기 2018.05.12 217
92 자녀 경쟁력은 수능시험에서 나오지 않는다 마을지기 2016.08.26 218
91 삐뚤빼뚤 악필… 연필 쥐는 법부터 가르쳐요 마을지기 2016.08.02 228
90 加 앨버타주, 20년 만에 교육과정 바꾼다 마을지기 2016.08.06 228
89 “교육혁신 모델, 외국서 찾지말고 선비정신 살려야” 마을지기 2016.05.21 233
88 교육은 따뜻해야 합니다-선물과 촌지의 의미 마을지기 2015.03.25 254
87 교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소서 마을지기 2015.03.26 278
86 AI가 지도하자 ‘수학 포기자’ 성적 28% 올랐다 마을지기 2018.05.09 284
85 [삶의 향기] ‘365일 24시간 직업’ 마을지기 2016.05.15 292
84 “학생참여 수업이 무조건 좋다?…교사가 상황에 맞게 정해야” 마을지기 2016.08.06 310
83 효도와 한국의 미래 마을지기 2016.04.16 311
82 한 살배기도 '호기심 천국' … 깜짝 놀라면 더 잘 배운다 마을지기 2015.04.03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