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좋은 글마당

오늘:
0
어제:
367
전체:
1,695,725
Since 1999/07/09

평범한 선생님은 말을 하고, 좋은 선생님은 설명을 하며, 뛰어난 선생님은 몸소 보여주고, 위대한 선생님은 영감을 준다

도킨스 “생물학적 진화 아닌 문화적 진화, 그게 인류의 미래”

 
『이기적 유전자』의 저자인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첫 내한해 21일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진화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300여 명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도킨스는 22일 세종대에서 강연을 했고, 25일엔 고려대에서 장대익 서울대 교수와 대담을 할 예정이다. [사진 우상조 기자]

『이기적 유전자』의 저자인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첫 내한해 21일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진화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300여 명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도킨스는 22일 세종대에서 강연을 했고, 25일엔 고려대에서 장대익 서울대 교수와 대담을 할 예정이다. [사진 우상조 기자]

종교와 신을 부정하고, 모든 생명체를 유전자의 생존 기계로 간주한 현대과학의 문제적 인물 리처드 도킨스(76)가 처음으로 한국을 찾았다. 그는 『이기적 유전자』 『만들어진 신』 등 다윈의 진화론을 유전자 단위에서 정밀하게 입증하면서도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해 대중의 호응을 끌어낸 진화생물학자다. 종교계 및 동료 과학자와의 치열한 논쟁을 마다하지 않은 전투적 무신론자이자 독설가로도 한 시대를 풍미해왔다.

외부 재앙에 인류 멸망 않겠지만
동식물 감소 등 내부 위협이 문제
AI로봇, 인류 파괴할 씨앗 될 수도
인간 뇌 더 이상 커지지는 않을 것

이번 내한에서 그가 꺼낸 화두는 ‘진화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다. 21일 오후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강연에서 그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면서도 특유의 통찰력으로 과학기술의 위험을 경고했다.
 
 
인류는 멸종할까
지구의 숱한 생명체가 사라져왔다. 인류라고 과연 예외일까. 인간의 근원적 불안감에 대해 도킨스는 ‘생존 지속’ 쪽에 무게를 뒀다. 그는 공룡을 예로 들며 “6500만 년 전 거대한 운석과의 갑작스러운 충돌로 수백만 개의 원자폭탄이 터지는 듯한 충격이 공룡을 소멸시켰다”고 분석했다. 반면 일정 수준의 기술 발전을 이룩한 현존 인류는 그 같은 재앙이 닥쳐도 “땅을 파고 벙커 속으로 들어가 연명하거나, 아예 화성으로 이주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공룡을 멸종시켰던 유성의 진행 방향을 예측해 “충돌을 미리 방지하거나 로켓 등을 쏘아 궤도 자체를 수정시킬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진정한 위기는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비롯될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도킨스는 “지구촌 생태계 동식물의 다양성 감소가 급격하게 진행 중”이라고 했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할까
도킨스의 원리는 ‘방사진화론’이다. 진화가 일직선상으로 진행되지 않고, 지리적 격리 등으로 독립적으로 진행되지만 결과는 비슷하다는 점에서 패턴화된 진화의 방향이 있다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인류의 미래상은 어떨까. 도킨스는 뇌에 주목했다. 우선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현재까지 300만 년 동안 계속 뇌는 커졌다”고 전제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커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큰 뇌가 생존과 번식에 더 이상 유효한 도구가 아니란 진단이다. 대신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을 장려하는 특정 종교에서 보듯 문화적 이유가 진화의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문화적·기술적 진화가 생물학적 진화보다 인류를 지배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자동차·컴퓨터를 보라. 생물학적 진화보다 수백만 배나 빠르다. 문화적 진화에 자연선택 법칙이 적용되긴 어렵다. 서로 영향을 주겠지만 생물학적 진화가 문화적·기술적 진화를 따라갈 것이다. 향후 인간의 진화는 문화적 진화다”고 단언했다.
 
관련 기사

로봇이 인류를 대체할까
그럼 과학기술의 진화가 과연 장밋빛일까. 도킨스는 인공지능(AI)을 언급하며 “앞으론 로봇이 이 강연장에서 실리콘과 탄소 기반 시대에 대해 논할지 모른다”고 말했다. “로봇이 인간의 지위를 위협할 지경이다. 우리는 지금 자기 파괴의 씨를 뿌리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볼 때”라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낙관적 시선을 놓지 않았다. 도킨스는 “노예제 폐지, 여성 참정권 확대 등 수세기가 지나 되돌아보면 역사의 바퀴는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과학을 통해 우주와 세상을 이해하는 인간인 우리는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을 멈추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Richard Dawkins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1941년 케냐 나이로비생. 35세에 쓴 『이기적 유전자』를 필두로 『확장된 표현형』(1982), 『만들어진 신』(2006) 등으로 과학계·종교계 논쟁의 한복판에 섰다. 2013년 ‘프로스텍트’지가 전 세계 100여 개국 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 최고 지성’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옥스퍼드대 명예교수다


살아남은 유전자 ‘이기적 선택’…명쾌하게 밝히다


[중앙일보] 입력 2017.01.23 01:06   수정 2017.01.23 02:57


도킨스의 진화생물학은
논쟁과 도발의 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21일 처음 방한했다. 『이기적 유전자』 등 베스트셀러로 현대 과학계에 충격을 던진 그의 이론을 정리한다.
 
병아리의 쪼기 행동 관찰로 박사 논문
40여년간 논쟁의 중심에 섰던 진화론자 도킨스. 21일 첫 내한해 강연과 사인회를 열었다. [사진 우상조 기자]

40여년간 논쟁의 중심에 섰던 진화론자 도킨스. 21일 첫 내한해 강연과 사인회를 열었다. [사진 우상조 기자]

리처드 도킨스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동물행동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킨스는 1966년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왜 병아리가 특정 색깔의 점을 다른 색깔의 점보다 더 많이 쪼아대는지에 대해 일종의 병아리 ‘심리학적’ 모형을 만들어 설명했다. 병아리의 쪼기 행동이 적당한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한 수학 규칙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한 것이다. 이는 마치 경제학에서 합리적 소비자가 제한된 예산 범위 내에서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구매를 결정한다고 설명하는 것과 유사하다.

생존 위해 만들어진 유전자 ‘긴 팔’
포크레인·우물·댐으로 확장해 설명
이슬람·기독교의 인격화된 신 부정
과학이 도덕사회 만들 수 있다 주장


이처럼 동물행동학은 기본적으로, 동물의 행동이 진화론적으로 유리한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한 합리적 선택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렇기에 동물행동학은 그 방법론 자체에서 인간과 동물의 행동에 대한 설명에서 차이를 두지 않는 ‘통섭적’ 특징을 보인다. 이런 방법론적 가정은 사회과학의 근본 전제와 분명한 대립각을 세운다. 사회과학의 출발점은 인간은 자유의지를 갖고 자신이 생각하는 특정한 ‘이유’에서 행동을 하는 주체적 존재라는 것인데, 인간 행동의 양상이 동물과 마찬가지로 진화론적으로 유리한 특징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부분적으로라도) 결정되어 있다면 이를 ‘주체적 인간’의 관점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지는 쉽지 않은 문제가 된다. 유명한 ‘본성-양육’ 논쟁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영국 채널4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 ‘찰스 다윈의 천재성’ 촬영 중 고릴라를 바라보고 있는 도킨스.

영국 채널4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 ‘찰스 다윈의 천재성’ 촬영 중 고릴라를 바라보고 있는 도킨스.

도킨스는 95년 시모니 석좌교수직에 취임하기 전까지 공식적으로는 동물행동학자로 연구했다. 하지만 학술적으로 그가 진가를 발휘한 점은 76년 발표한 『이기적 유전자』 등 일련의 대중과학서를 통해 유전자 중심의 진화생물학적 관점을 대중에게 널리 알린 것이었다. 시모니 석좌교수 자체가 도킨스의 업적을 인정해 새롭게 설립된 ‘대중의 과학이해’를 전담하는 교수직이었을 정도였다.

‘이기적 유전자’라는 제목은 출판사가 제안한 것이고 원래 도킨스는 ‘불멸의 유전자’라는 표현을 더 선호했다고 한다. 도킨스가 이 책에서 강조하고 싶었던 부분은 일정한 수명을 갖고 탄생했다 죽음을 맞는 개체가 아니라 여러 개체를 관통해서 복제되어 살아남는 유전자가 생명 현상을 이해하는 데 더 결정적이라는 점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기적인’ 부분에 주목했고, 이 과정에서 도킨스 스스로도 유감을 밝힌 오독이 발생했다. 도킨스는 유전자의 관점에서 생명 현상을 설명하려면 ‘마치’ 유전자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행동하는 것처럼 가정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의미의 비유로 “유전자가 이기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런데 이 비유가 대다수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이익만을 챙긴다”는 의미로 이해됐고, 많은 독자들이 인간은 이기적 유전자의 지배를 받기에 이기적일 수밖에 없다는 인상을 받게 됐던 것이다.
 
유전자의 ‘긴 팔’과 문화의 응축 ‘밈’
예루살렘 통곡의 벽 앞에 선 도킨스. 이곳에서 의무로 착용해야 하는 모자를 쓰고 있다. [사진 김영사]

예루살렘 통곡의 벽 앞에 선 도킨스. 이곳에서 의무로 착용해야 하는 모자를 쓰고 있다. [사진 김영사]

도킨스는 유전자가 생명 현상을 이해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했지만 그가 유전자만으로 인간을 비롯한 고등 동물의 행동, 특히 문화적 행동과 그 결과물을 모두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이 지점에서 그의 또 다른 개념인 ‘확장된 표현형’과 ‘밈’이 중요해진다.

도킨스는 『확장된 표현형』에서 비버의 댐(비버는 댐을 만드는 습성을 갖고 있다)을 비롯한 다양한 사례를 들어 유전자의 ‘긴 팔’을 설명한다. 유전자의 ‘긴 팔’이란 또 다른 은유다. 우리가 물을 마시고 싶어 팔을 뻗어 물컵을 잡는다면 팔은 우리 의지를 실현하는 도구가 된다. 그런데 우리가 물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 포크레인을 동원해 우물을 판다면 포크레인이나 우물도 의지 실현을 위해 몸을 확장한 일종의 ‘긴 팔’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표현형이란 ‘파란 눈’처럼 원래 유전자의 결과물로 나타난 생명체의 특징(형질)을 의미한다. 그런데 동물의 행동을 ‘이기적’ 유전자의 결과로 볼 수 있다면 동물의 행동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 예를 들어 비버의 댐도 일종의 유전자의 ‘긴 팔’의 결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유전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만들어지는 단백질만이 아니라 동물의 행동과 그 결과물 또한 ‘확장된’ 표현형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도킨스는 이 ‘확장된 표현형’의 개념으로 인간의 문화적 생산물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명실상부 유전자의 ‘긴 팔’이 인간의 생물학적 특징만이 아니라 문화적·사회적 특징에까지도 뻗어 있다는 것이다.

도킨스는 ‘확장된 표현형’에서 더 나아가 본격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문화를 설명하기 위해 밈 개념을 도입한다. 밈은 ‘특정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 전달되는 생각·행동·스타일’을 지칭한다. 즉, 유전자와 유사하게 (하지만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사람들 사이에서 전파되는 문화적 단위체라고 볼 수 있다. 가장 손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밈은 유행어나 대중가요의 곡조겠지만 좀 추상적으로는 정치적·종교적 원리나 철학적 주장도 해당된다.

도킨스의 밈 개념이 가장 논쟁적으로 활용된 예가 종교다. 도킨스가 보기에 종교적 믿음, 특히 ‘신’ 개념은 가장 나쁜 종류의 밈이다. 도킨스는 아인슈타인의 신 개념처럼 온 우주에 퍼져있는 추상적 원리의 은유로서의 신 개념에는 별 불만이 없다. 도킨스가 문제 삼는 것은 기독교나 이슬람교의 인격신 개념이다. 그는 이런 인격신이 진정으로 존재하는지를 과학적 가설로 간주해서 경험적 판정을 내리자면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처럼 부정적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다.

그렇다면 과학적으로 이렇게 분명한 결론이 났음에도 종교적 믿음과 신 개념이 이토록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킨스는 이에 대한 설명을 밈이 전파되는 과정에 대한 자신의 이론에서 찾는다. 종교를 가진 부모 밑에서, 혹은 종교가 사회 전체에서 널리 수용되는 환경에서 자라난 어린이는 선택의 여지없이 그 밈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도킨스 역시 종교가 우리의 삶에 도덕적·교육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그런 기여가 종교가 아닌 과학을 통해서 더 잘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생각이 종교적 근본주의자만이 아니라 상당히 온건한 방식으로 종교와 과학의 공존을 모색하려는 사람들도 불편하게 했음은 물론이다. 이런 점에서 도킨스의 ‘전투적 무신론’은 과학지식의 긍정적 힘을 확신하는 21세기의 신계몽주의라고 볼 수 있다.
 
관련 기사
 
그의 책은 과학자에게도 훌륭한 교양서
도킨스의 영향력은 그의 수많은 책과 강연을 통해 끼친 ‘대중의 과학 이해’ 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동물행동학 및 진화생물학 연구가 결코 하찮은 것은 아니지만 대중저술가로서의 그의 유산에 비해 학계에 끼친 영향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그의 ‘대중의 과학 이해’ 영역에서의 업적을 어려운 과학 내용을 ‘쉽게 해설’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폄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세분화된 연구주제를 탐구하는 것만큼이나 과학적 세계관이 보여주는 전망과 함의를 통합적 시각에서 제시하는 것은 대중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과학자에게도 훌륭한 ‘과학 교양’이기 때문이다. 지극히 전문화된 주제에 몰두할 수밖에 없는 현대 과학자들은 자칫 나무만 보다가 숲은 보지 못하는 오류에 빠지기 쉽다. 도킨스가 저술한 일련의 책들은 이런 과학자를 비롯한 대중들에게 현대 생물학의 세계관과 첨단 학술 연구의 지평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돼야 한다. 비록 그의 구체적인 주장은 논쟁적일 수 있지만, 도킨스 스스로 강조했듯 그 논쟁성 자체가 건강한 과학이 발전하는 유일하고도 확실한 방법이라는 점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상욱(한양대 철학과 교수·과학철학)


[출처: 중앙일보] 도킨스 “생물학적 진화 아닌 문화적 진화, 그게 인류의 미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 답 주지 말고 찾도록 도와주라 마을지기 2020.03.11 295
56 문과생도 과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마을지기 2020.03.11 329
55 일본의 방역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이유[동아광장/박상준] 마을지기 2020.03.11 205
54 목표 하나쯤 품고 사는 삶 마을지기 2018.06.14 347
53 인공지능 AI를 사랑한 남자, 그 감정은 진짜일까 [출처: 중앙일보] 마을지기 2018.05.26 787
52 키메라 장기·인공혈관·인공근육 ‘6백만불의 사나이’ 현실이 된다 마을지기 2018.05.12 467
51 지나치게 심각하지 않은 삶 마을지기 2018.05.08 530
50 [마음읽기] 의리는 의미를 이길 수 없다 마을지기 2018.05.08 433
49 미국 교사들 "월급이 쥐꼬리" 거리로 뛰쳐나왔다 마을지기 2018.04.30 491
48 4차 산업혁명시대, 은퇴 뒤 재취업하기 쉬운 직업은 마을지기 2018.04.30 290
47 [책 속으로] 글쓰기 책의 이구동성…"많이·깊이·짧게·다시" 마을지기 2017.11.25 473
46 행복의 재정의가 필요한 시대 마을지기 2017.04.19 253
45 일자리 50%는 지금 당장 로봇 대체 가능 마을지기 2017.04.15 206
44 훌륭한 지도자의 으뜸 조건은 ‘머리보다 성격’ 마을지기 2017.04.09 281
43 24개 혁신기술 확산시기 마을지기 2017.04.04 202
42 4차 산업혁명- 혁신의 역설 마을지기 2017.01.30 691
» 도킨스 “생물학적 진화 아닌 문화적 진화, 그게 인류의 미래” 마을지기 2017.01.23 407
40 로봇이 사회·정치 부패 척결할 것-4차 산업혁명과 로봇 마을지기 2016.09.29 350
39 인류 5번 걸쳐 대륙간 대이동, 급격한 기후 변화 때문 마을지기 2016.09.23 375
38 [중앙시평] 리더는 갑다운 갑이어야 한다 마을지기 2016.08.22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