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분류의 기초 지구에는 약 200만종이 넘는 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물이 계속 발견되고 있습니다. 생물의 분류 인위 분류:사람이 편리한 대로 생물의 사는 장소나 쓰음새에 따라 분류 생물의 분류 단계는 종을 기준은로 종<송<과<목<강<문<계의 7단계로 나눔 생물의 이름 붙이기:학명을 이용함
생물 분류체계의 변화 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생물분류 체계에도 변화가 뒤따랐다. 고대부터 생물은 식물과 동물로 분류되어 왔는데, 17세기 후반 현미경이 발명됨에 따라 동물과 식물 어디에도 포함시킬 수 없는 단세포 생물이 있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이후 이들은 원생생물계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현미경의 발달, 특히 전자현미경의 등장으로 세포를 보다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대부분의 생물은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핵을 가지고 있으나 일부 단세포 생물에는 세포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중요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써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핵이 없는 생물로 이루어진 네 번째 계(界), 원핵생물계가 탄생하게 되었다.
1969년 미국 코넬대학의 휘태커(Robert Harding Whittaker, 1920–1980)는 그동안 식물계에 포함되어 있던 곰팡이 무리를 분리하여 균계로 독립시키면서 새로운 분류체계를 주창하였다. 생태학자로서 생물의 분류에서 영양방식을 강조한 그는 몸 밖으로 효소를 분비하여 사체 등을 분해한 후 이를 흡수하여 살아가는 곰팡이 무리가 광합성을 통해 유기양분을 스스로 생산하는 식물과 동일한 계에 포함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전체 생물을 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동물계, 균계, 그리고 식물계로 분류한 그의 5계 분류체계는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다.
한편 1977년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우즈(Carl Woese, 1928~) 등은 16S 리보솜 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원핵생물계가 사실상 매우 이질적인 두 개의 무리로 이루어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계속된 분자계통 연구를 통해 1990년에는 생물 분류계급의 최상위 계급으로 역(域, Domain)을 제안하면서 생물을 세균역(세균계 포함), 고세균역(고세균계 포함), 그리고 진핵생물역(원생생물계, 동물계, 균계, 식물계 포함)으로 분류하였다. 이 3역 분류체계는 이른바 ‘원핵생물’이 서로 매우 다른 두 무리인 세균역과 고세균역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이중 고세균역은 같은 원핵생물인 세균역보다 진핵생물역과 더 깊은 계통 유연관계를 보인다는 것, 즉 계통수에서 같은 가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세균역, 고세균역, 진핵생물역의 계통수
http://blog.daum.net/fdfgegdf/15 <참고> 생물분류 체계의 변화. 동물계-식물계의 단순한 구분에서 3역 6계로의 변화까지를 보여준다.
생물의 분류 방법 <3역 6계>
1역) 세균(細菌) 또는 박테리아(라틴어) 한다. 원핵생물 중에서 고세균이 세균과 다른 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다. 박테리아라는 이름은, 우측 사진에 있는 바실러스 박테리아의 모양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 '작은 막대기'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박테리온(그리스어: baktērion)에 비롯되었다. 박테리아는 현미경을 발명한 네덜란드의 안톤 판 레이우엔훅(대한민국에서는 '레벤후크'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이 1676년에 처음으로 관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균의 분류학상의 위치>
고세균의 종류 특징과 서식지에 따라 구분되지만 여러가지 특징을 동시에 지닌 고세균도 있다. 기본적으로 메탄생성균, 극호염성균, 호열성균, 초고온성균으로 구분한다.
메탄생성세균
극호염성세균
극호염성 세균들은 그람음성이며 이분법에 의해 증식하고 휴면단계나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호염성균은 운동성이 없으나 몇 종류에서는 편모를 가지고 서서히 움직이거나 가스 소포(gas vesicles)로 떠다닐 수 있다. Halobacterium과 Halococcus의 유전체 조성은 전체 세포 DNA의 25~30% 이상을 포함하는 큰 플라스미드들이 존재하고 이들 플라스미드들의 GC염기 비율(57~60% GC)이 염색체 DNA의 것(66~68%)과 매우 다르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극호염성 세균에서 유래하는 플라스미드는 자연계에서 알려진 가장 큰 플라스미드 중의 하나이다.
극호염성 세균의 대부분의 종들은 절대 호기성이다. 대부분 호염성균은 아미노산 혹은 유기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최적의 생장을 위하여 많은 종류의 생장인자(주로 비타민들)를 필요로 한다. 어떤 Halobacterium 종들은 탄수화물을 산화하나 이런 능력은 비교적 드물다. Halobacterium에는 시토크롬 a, b, c 형을 포함하는 전달계가 존재하고, 에너지는 세포막에 의해 매개되는 화학삼투현상으로 생성된 양성자 동력을 통해서 호기적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호염성 고세균은 혐기적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 발효를 하거나 질산염(nitrate)혹은 fumarate의 환원과 연결된 혐기성 호흡(anaerobic respiration)에 의하여 혐기생장(anoxic growth)하는 것이 몇몇 종들에서 보고된 바 있다.
호열성세균
초고온성세균 <세균과의 비교> 고세균과 세균은 공통적으로 진핵세포에서 볼 수 있는 핵막이나 기관이 없고 긴 원형의 염색체 DNA를 갖고 있으며 간혹 작은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특정 대사와 연관된 고세균과 세균의 유전자는 공히 오페론을 이루거나 군집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고세균과 세균 모두 제2형 제한 효소 (인식부위와 절단부위가 모두 특이성이 있는 제한효소) 시스템을 가진다.
차이점 하지만 고세균과 세균을 가르는 가장 큰 차이점은 크게 세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유전자 및 단백질의 상동성, 둘째는 세포벽과 세포막의 구성, 셋째는 DNA 복제 및 단백질 합성에서의 진핵세포와의 유사성이다. 고세균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구조에 있어서도 세균과 약 4가지의 차이점을 보이는데, 첫째, 글리세롤의 방향성 (L-form), 둘째, 에테르 결합, 셋째, isoprenoid chain, 넷째, branch가 있다는 점이다. 보통 세균과 막 구성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항생제로도 파괴되지 않는다.
3역) 진핵생물 진핵생물(眞核生物, 영어: Eukaryota)은 진핵세포를 가진 생물을 말한다. 진핵세포(眞核細胞)는 세포 내에 핵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가진 세포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세포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는 과거 진화 과정에서 외부의 원핵세포들이 세포내 공생체로 도입된 경우로 생각되며, 그 외의 소기관들도 각각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분화되어 있다. 원생생물(原生生物, Protista)은 진핵생물 중에 동물이나 식물, 균계에 속하지 않는 생물의 분류이다. 성질은 동물, 식물, 균 다양하며 어느종은 두가지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종도 있다 원생생물은 식물, 동물, 균류와 함께 진핵생물에 속한다. 진핵생물은 원핵생물과 달리 세포 내에 핵과 막으로 둘러싸인 미토콘드리아나 골지체 같은 소기관이 있다. 이런 소기관은 특정 기능이 수행되게끔 특정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진핵생물에 속하는 종들의 대부분이 원생생물이고 대부분의 원생생물은 단세포 생물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식물, 동물과 균류 등 다세포 생물은 원생생물에 뿌리를 두고 있는 큰 몸통의 말단부에 지나지 않는다. 대표적인 원생생물들 원생생물은 워낙 다양하고 분류도 복잡하여 일일이 언급하기 어려우나 다음과 같은 종들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규조류(diatome)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광합성 식물플랑크톤 중 하나로 해양 생산성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정교한 무늬의 유리질 껍질을 가진 예쁜 단세포 생물로 지구상에서 가장 종 수가 많은 생물 중 하나이다. 규조류와 함께 유색피하낭류(Chromaveolata)에 속하는 생물체로는 바다 속에서 “숲”을 형성하는 거대 식물인 갈조류 켈프, 말라리아를 발병시키는 열원충 (Plasmodium)과 같은 병원체, 감자 기근으로 유명해진 감자역병균 (Phytophthora)이 있다. 아메바(amoeba) 귓불 또는 튜브 모양의 위족을 가진다. 아메바는 최초의 진핵생물 중 하나로 단편모류 (unikonts)에 속한다. 주로 위족을 사용해서 작은 조류(algae)나 박테리아들을 삼켜서 영양을 얻는다. 점균류 (slime molds)는 한 때 균류로 취급되었으나 최근에는 많은 분자계통학적 증거들을 통해 아메바와 더 유연관계가 깊다고 밝혀졌다. 유글레나(euglena) 연못 물에서 흔히 발견되는 연두색의 단세포 생물인 유글레나는 편모 내에 수수께끼와 같은 나선형 또는 결정상의 기둥 모양 구조를 갖는 점에서 다른 단세포 생물과 뚜렷이 구분된다. 세포의 전단부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편모가 나오는 주머니가 있다. 대부분 혼합영양생물이며 빛이 있으면 광합성을 하지만 빛이 없으면 주위 환경으로부터 유기물을 흡수하는 종속영양생물이 된다. 주로 식세포작용으로 먹이를 섭취한다.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 그리스어로 dinos는 소용돌이를 의미하며 이는 와편모조류의 세포가 물속에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갑옷 모양의 섬유소판으로 강화된 세포를 가진다. 해양과 담수에서 매우 중요한 플랑크톤 중 하나로 대부분이 혼합영양생물이다. 종종 자신보다 훨씬 더 큰 물고기를 공격하여 잡아먹기도 하는 데 Pfiestria 라는 와편모조류는 자신의 몸의 수천 배 크기인 물고기의 아가미를 공격하여 잡아 먹기도 한다. 짚신벌레(Paramecium) 표면을 덮고 있는 수 천 개의 섬모 (Cilia)가 특징이다. 깔때기 모양의 입 부위를 따라 난 무수한 섬모가 먹이 (주로 세균)을 세포의 움푹 파인 곳으로 이동시킨다. 이곳에서 식세포 작용을 통해 먹이가 식포 내로 들어간다. 또한 단세포 생물로는 매우 뚜렷한 수축포를 가진다. 수축포는 동물의 방광과 흡사한 역할을 한다. 물의 섭취는 삼투압을 사용한다. 낮은 삼투 농도의 용액에서 유입된 물을 수축포 내 방사상의 관을 통해 축적하고 원형질막을 통해서 주기적으로 배출한다 (그림 8). 물곰팡이(oomycetes) 물곰팡이는 백색녹병균, 노균과 함께 난균류 (oomycetes)에 속한다. 초기의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이 생물을 균류에 포함시켰지만 난균류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반면 균류는 키틴질의 세포벽을 갖는 점에서 구분된다. 물곰팡이도 한 때는 색소체를 가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지금은 퇴화하여 광합성을 할 수 없다. 주로 죽은 생물을 분해해서 영양을 얻거나 살아있는 다른 세포 몸속에 들어가서 산다. 대부분의 물곰팡이는 주로 담수에 서식하며, 죽은 조류와 동물의 표면에 솜뭉치 모양으로 자라는 분해자이다.
홍조류와 녹조류는 육상식물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학자에 따라 원생생물로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상당 수의 구성 종이 다세포 생물이며 매우 복잡한 형태와 생식 패턴을 보인다. 여기에서는 주로 단세포 생물로서의 원생생물을 다루고 있어 포함시키지 않았다. ○ 균류(균계) 균계(菌界)는 생물 분류의 하나로 효모, 곰팡이, 버섯 등이 포함된다. 옛날에는 식물에 포함시켜 광합성을 하는 고등식물과 조류에 대하여 광합성을 하지 않는 은화(민꽃)식물, 즉 세균류·점균류·진균류 등의 하등식물을 총칭하였다. 최근에는 체제, 생식법, 생화학적 특성 등에 의하여 근본적으로 식물과는 다른 한 계통적인 생물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균계는 어느 것에도 엽록소 등과 같은 동화색소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고등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므로 다른 생물체나 유기물에 붙어서 기생 또는 부생을 한다. 생물의 세부분류 '계 - 문 - 강 - 목 - 과 - 속 - 종' 예 : 사람 예 : 고양이 예 : 개 예 : 애사슴벌레 (국산종) 예 : 닭
1. 종 : 생물을 분류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
조류 이야기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6167&category_type=series
|
식물이름 |
책이름 | 출판사 |
학교와 집 주변에 있는 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현암사 |
잔디, 안수리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몬스테라, 자주달개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백합,히아신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튤립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옥잠화, 비비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선화,아마릴리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알로에,용설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상사화,군자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꽃무릇,분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프리지어,글라디올러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범부채,크로커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파초,칼라테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보춘화, 풍란, 큰방울새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개불알꽃,온시듐,팔레놉시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칸나,댑싸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천일홍 맨드라미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채송화,안개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카네이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아네모네,작약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금낭화,풍점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미모사,제라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한련화,접시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봉숭아,컴프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팬지, 사철베고니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선인장,시클라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유홍초,나팔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풀협죽도, 샐비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피튜니아, 꽈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박, 여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세미, 만수국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국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과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금잔화, 달리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코스모스,금계국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해바라기,원추천인국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데이지, 백일홍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논과 밭에 있는 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피튜니아, 꽈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수,보리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밀, 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기장,귀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옥수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율무,왕골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부추, 아스파라거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파, 양파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마늘, 생강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삼, 모시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메밀, 유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무, 배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갓, 케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양배추, 토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시금치, 근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딸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강낭콩, 완두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콩, 땅콩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팥,결명자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감초,황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녹두, 동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아주까리, 아욱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목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인삼, 참당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미나리, 당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파슬비, 담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토마토, 가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고추, 피망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고구마, 감자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들꺠, 참깨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박, 참외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호박, 오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멜론, 상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치커리, 쑥갓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우엉, 머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도라지, 더덕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산과 들에 있는 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바랭이, 그렁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크령, 강아지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띠, 포아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솔새, 기름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참억새, 뚝새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방동사니, 괭이 사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반하, 천남성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닭의장풀, 꿩의 밥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달래, 얼레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은방울꽃, 애기나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원추리, 둥굴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참나리, 무릇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밀나물, 맥문동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마늘, 생강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한삼덩쿨, 쪽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소리쟁이, 여뀌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영, 싱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범꼬리, 며느리밑씻개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거북꼬리, 흑쐐기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명아주, 비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쇠무릎, 쇠비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미국자리공, 족두리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패랭이꽃, 장구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동자꽃, 별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복수초, 할미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으아리, 노루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꿩의다리, 투구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백부자, 매발톱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미나리아재비, 붓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현호색, 산과불주머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꺵꺵이풀, 삼지구엽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애기똥풀,양귀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돌나물, 바위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기린초, 꽃다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냉이, 말냉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뱀딸기, 양지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오이풀, 짚신나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갈퀴나물, 도둑놈의 갈고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토끼풀, 매듭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고삼 , 벌노랑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차풀, 노루오줌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돌단풍, 바위취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이질풀, 괭이밥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애기땅빈대, 물봉선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물레나물, 달맞이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제비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어저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참나물, 기름나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질경이, 산골무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꿀풀, 박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광대나물, 익모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노루발, 앵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봄맞이, 까치 수영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봄구슬붕이, 용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박주가리, 꽃마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메꽃, 새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독말풀, 까미중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꽃며느리밥풀, 꼭두서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마타리, 수염가래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초롱꽃, 잔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민들레, 지칭개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솜다리, 솜방망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엉컹퀴, 뽀리뱅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씀바귀,고들뺴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방가지똥, 돼지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개망초, 뚱딴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금불초, 구절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벌개미취, 쑥부쟁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쑥, 떡쑥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산국, 삽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우산나물, 참취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도꼬마리, 가막사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도깨비바늘, 진득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벌레잡이 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벌레잡이 통풀, 끈끈이주걱, 파리지옥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통발, 땅귀개, 이삭귀개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냇가나 연못에 있는 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부들, 벗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가래, 말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검정말, 나사말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줄, 갈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물옥잠, 부레옥잠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창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연꽃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련, 골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고마리,마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물수세미, 개구리밥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바닷가에서 있는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지채, 해홍나물, 갯능재미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칠면초, 퉁퉁마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나문재 문주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통보리사초, 갯완두, 갯방풍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갯메꽃, 갯씀바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온실에서 볼 수 있는 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파인애플, 사탕수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바나나, 극락조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학교와 집 주변에 있는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소철, 행운목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관음죽, 당종려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파키라, 실유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피라칸타, 향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측백나무, 돈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벤자민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회양목, 포인세티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사철나무, 백량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동백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협죽도, 치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은행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가죽나무, 느티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무화과나무, 계쑤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목련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튤립나무, 오미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모란, 매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수국, 까마귀밥여름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장미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벚나무, 병아리 꽃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쉬땅나무, 황매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명자나무, 플라타너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골담초, 박태기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자귀나무, 회화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등나무, 영산홍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탱자나무,칠엽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담쟁이덩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벽오동,오동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무궁화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부용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능소화, 산수유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개나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라일락, 쥐똥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미선나무, 배롱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구기지나무, 석류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산과 들에 있는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왕대, 조릿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소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전나무, 구상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가문비나무, 개잎갈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주목, 비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낙엽송, 낙우송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삼나무, 굴거리나무, 인동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차나무, 호랑가시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노간주나무, 겨우사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버드나무, 미루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사시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갯버들, 능수버들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자작나무, 오리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소사나무, 개서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박달나무, 개암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느릅나무, 굴피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뽕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닥나무, 사위질빵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새모래덩굴, 댕댕이 덩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청미래덩굴, 으름덩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노박덩굴, 화살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옻나무, 붉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싸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칡, 아까시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아그배나무, 밭배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산사나무, 국수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조팝나무, 찔레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산딸기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귀롱나무, 히어리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생강나무, 손초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단풍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신나무, 고로쇠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모감주나무, 떄죽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머루, 다래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두롭나무, 엄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누리장나무, 작살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보리수나무, 산딸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층층나무, 말채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진달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철쭉, 노린재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물푸레나무, 벙꽃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분꽃나무, 괴불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과일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잣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호두나무,가래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밤나무, 대추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감나무, 앵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복숭아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살구나무, 자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매실나무, 배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사과나무, 모과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오렌지, 귤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레몬, 유자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포도나무, 키위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바닷가에 있는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해당화, 순비기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온실에서 볼수있는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코코스야자, 카카오 나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커피나무, 파파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양치식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고사리, 고란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고비, 관중, 생이가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속새, 쇠뜨기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선태식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솔이끼, 우산이끼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균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송이, 느타리, 영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세발버섯, 흰알광대버섯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푸른곰팡이, 누룩곰팡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붉은빵 곰팡이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조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해캄, 훈장말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청각, 파래, 대시마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미역, 감태, 김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우뭇가사리, 톳,모자반 |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이야기 식물도감 | 교학사 |
1 모양새가 아름다워 가꾸고 싶은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 능소화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 배롱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산사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4)자귀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5)동백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6)호랑가시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7)수국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8)불두화와 백당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9) 등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0)매자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1)수수꽃다리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2)작살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3)복사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4)붓순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5)조팝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6)이팝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7)주목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도시에서 만날 수 있는 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 느티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 낙우송과 케타세콰이아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 양버즘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4)단풍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5)벚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6)은행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7)팔손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8)담쟁이덩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9)사철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0)목련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1)쥐똥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2)돈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3)향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4)버드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5)송악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6)측백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7)칠엽수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8)영산홍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9)회양목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산과 들에서 자주 만나는 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겨우살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다래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머루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4)보리수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5)붉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6)생강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7)아까시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8)잎갈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9)청미래덩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0)진달래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1)팡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2)서어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3)사위질빵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4)오리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5)자작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6)찔래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7)칡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8)피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9)산기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0)소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1)으름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2)전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3)참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4)탱자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5)화살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6)싸리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7)산초나무와 초피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8)인동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9)조릿대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0)철쭉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1)팥배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2)후박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4)쓰임새가 요긴한 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가래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대추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모과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4)비자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5)오미자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6)감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7)때죽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8)밤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9)뽕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0)차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1)닥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2)마가목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3)산돌배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4)대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5)매실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6)산수유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7)벽오등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8)오갈피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5)우리나라를 대표하거나 살라질 위기에 처한 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개나리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2)망개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3)사스래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4)함박꽃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5)무궁화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6)구상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7)시로미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8)히어리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9)녹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0)아그배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1)미선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2)만병초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3)백서향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14)잣나무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우리나무 백가지 | 현암사 | |
구분하기 어려운 식물들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소나무류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소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곰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반송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리기다소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백송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대왕송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잣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섬잣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스트로브잣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측백나무·편백·화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측백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편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화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왕대·맹종죽·솜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왕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맹종죽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솜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갈대·달뿌리풀·억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갈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달뿌리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억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창포·붓꽃·꽃창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창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붓꽃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꽃창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물옥잠·부레옥잠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물옥잠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부레옥잠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비비추·옥잠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비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옥잠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가래나무·호도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가래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호도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참나무류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갈참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졸참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떡갈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신갈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상수리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굴참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가시나무·종가시나무·붉가시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가시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종가시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붉가시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졸가시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며느리배꼽·며느리밑씻개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며느리배꼽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며느리밑?喚?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작약·모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작약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모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목련·백목련·함박꽃나무·태산목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목련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백목련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함박꽃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태산목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생강나무·산수유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생강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산수유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애기똥풀·매미꽃·피나물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애기똥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매미꽃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피나물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갓·유채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갓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유채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황매화·죽단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황매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죽단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자운영·토끼풀·괭이밥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자운영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토끼풀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괭이밥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초피나무·산초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초피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산초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가죽나무·참죽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가죽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산초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꽝꽝나무·회양목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꽝꽝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회양목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동백나무·애기동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동백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애기동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진달래·철쭉·산철쭉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진달래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철쭉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산철쭉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때죽나무·쪽동백나무·백동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때죽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쪽동백나무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백동백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개나리·만리화·영춘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개나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만리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영춘화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나팔꽃·메꽃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나팔꽃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메꽃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망초·개망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망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개망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
민들레·서양 민들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민들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서양민들레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비교 포인트 | 식물비교도감 | 현암사 |
수생 및 습지 식물 이름 | 학술정보센터 | |
참물부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네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생이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개구리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고사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시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왜개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남개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각시수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순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붕어마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동의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구리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매화마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흰꽃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바보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기생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나도미꾸리낚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좁은잎미꾸리낚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꾸리낚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고마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고추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뚜껑덩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황새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낙지다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자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이삭물수세미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수세미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좀부처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부처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부처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마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는마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마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마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여뀌바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눈여뀌바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봉선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나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어리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어리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노랑어리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쉽싸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쉽싸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별이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등에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구와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는미국외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외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밭둑외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문모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칭개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염마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통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들통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염가래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가막사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막사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한련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질경이택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둥근잎택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올미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벗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소귀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올챙이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올챙이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검정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자라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질경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나사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지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말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는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대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가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줄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민나자스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톱니나자스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상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창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개구리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구리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사마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별날개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비녀롤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참비녀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청비녀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이삭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타래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알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병아리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모기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방동산이대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너도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털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바늘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남방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올방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까락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꼬챙이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하늘지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바람하늘지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민하늘지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시파대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매자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매자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새섬매자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올챙이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솔방울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방울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송이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도루박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세모고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독새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뚝새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조개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돌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논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노도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드렁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기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물참새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갈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달뿌리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잔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흑살릉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긴흑삼릉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부들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꼬마부들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부들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부레옥잠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옥잠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달개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노랑꽃창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생활주변식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뜨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고사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사위질빵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선피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할미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개구리미나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젓가락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나리아재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똥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자주괴불주머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환삼덩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모시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자리공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흰명아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양명아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명아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취명아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댑싸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퉁퉁마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나문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해홍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쇠무릎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는털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시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청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석류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벼룰이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유럽점나도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점나도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미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개미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들개미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개미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벼룩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별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별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싱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흰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산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봄여뀌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며느리배꼽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며느리밑씻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영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수영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소리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참소리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금소리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소리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돌소리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길경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까치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어저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제비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흰제비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호제비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시박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장대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갓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좁쌀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재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꽃다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콩다닥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개갓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갓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속속이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말냉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까치수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까치수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봄맞이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말똥비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땅채송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돌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짚신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뱀딸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개소시랑개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락지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딱지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양지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세잎양지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소시랑개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산딸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멍석딸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오이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족제비싸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새콩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자운영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활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여우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돌콩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둥근매듭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매듭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완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잔개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자주개자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전동싸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칡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고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토끼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붉은토끼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갈퀴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살갈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새완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얼치기완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벳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새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달맞이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달맞이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땅빈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땅빈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등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여우주머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괭이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붉은괭이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선괭이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사상자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방풍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박주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독말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흰독말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독말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땅꽈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까마중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도깨비가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까마중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선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기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새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실새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나팔꽃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둥근잎유흥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모래지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꽃받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꽃마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마편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조개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광대수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광대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자주광대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익모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쥐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들깨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배암차즈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석잠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질경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질경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창질경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주름잎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선개불알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불알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눈개불알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개불알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쥐꼬리망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갈퀴덩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솔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꼭두선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갈퀴꼭두선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돼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단풍잎돼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사철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쑥부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비자루국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비자루국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쑥부쟁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도깨비바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울산도깨비바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조뱅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지느러미엉겅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중대가리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엉겅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엉겅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실망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망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망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주홍서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고들빼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붉은서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망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주걱개망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별꽃아재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떡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풀솜나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뚱딴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지칭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서양금혼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씀바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노랑선씀바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벋음씀바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벌씀바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씀바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선씀바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왕고들빼기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지상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족제비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머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쑥갓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양미역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방가지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사데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방가지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만수국아제비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흰민들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붉은씨서양민들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서양민들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민들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도꼬마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도꼬마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뽀리뺑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반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닭의장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닭의장출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꿩의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통보리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애괭이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괭이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좀보리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천일사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참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금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푸른방동산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세대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속털개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구주개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메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바랭이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참새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털빕새귀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이삭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산조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개솔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우산잔디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오리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바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왕바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보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갯그령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비노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나도개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들묵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쇠치기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향모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띠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드럼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쥐보리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민바랭이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억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미국개기장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참새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크령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새포아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왕포아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수가앙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가을강아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금강아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주름강아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강아지풀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큰기름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솔새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잠자리피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달래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무릇 | 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학술정보센터 |
물 위에 떠서 자라는 풀 - 부유식물 | 보림 | |
개구리밥 | 보림 | |
좀개구리밥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물개구리밥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생이가래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통발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부레옥잠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
물속에 잠겨 자라는 풀 - 침수식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붕어마름 - 오성붕어마름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검정말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물수세미 - 이삭물수세미, 앵무새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말즘 - 말, 대가래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톱니나자스말 - 나자스말, 민나자스말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나사말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물질경이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
물에 잎을 띄워 자라는 풀 - 부엽식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가래 - 애기가래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네가래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마름 - 애기마름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자라풀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노랑어리연꽃- 어리연꽃, 좀어리연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연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개연꽃 - 왜개연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수련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가시연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
물가에 자라는 풀 - 정수식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벗풀 - 보풀, 소귀나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질경이택사 - 택사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개구리자리 - 젓가락나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물달개비 - 물옥잠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큰물칭개나물 - 물칭개나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고마리 - 나도미꾸리낚시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며느리배꼽 - 며느리밑씻개, 미꾸리낚시, 넓은잎미꾸리낚시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명아자여뀌 - 흰여뀌, 여뀌, 개여뀌, 기생여뀌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자귀풀 - 차풀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물고추나물 - 좀고추나물, 애기고추나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여뀌바늘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사마귀풀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쉽싸리 - 애기쉽싸리, 개쉽싸리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박하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개발나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미나리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낙지다리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삼백초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큰매자기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뚜껑덩굴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창포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꽃창포 - 노랑꽃창포, 부채붓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부처꽃 - 털부처꽃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미국가막사리 - 가막사리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물쑥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한련초 - 가는잎한련초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동의나물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부들 - 큰잎부들, 애기부들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흑삼릉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갈대 - 달뿌리풀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줄 | 수생식물도감 | 보림 |
논에서 자라는 ‘피’ 농민들 피를 말린다고해서 붙여진 거래요
밟아도 밟아도 죽지 않고 또 자라나는 생명력의 대명사, 잡초(雜草ㆍweed). 끈질긴 사람을 두고 ‘잡초 같다’고들 합니다. 필요 없는 것을 가리켜 잡초라고 부르기도 하죠. 국내에는 총 1400여 종의 잡초가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잡초라고 싸잡아 명명하기 머뭇거려질 만큼 많은 숫자죠. 실제로 잡초들도 제 나름의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그 이름 속에는 잡초들의 생물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숨결도 스며들어 있습니다. 정겨운 우리 잡초의 이름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